MANON
/MASSENET
OPÉRA BASTILLE
le 13 fev 2012
파리에 있으니 이왕이면 프랑스 작곡가들의 오페라를 봐 두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을 했을때, 이미 '마농'의 티켓은 수 주 전에 오픈되어 100 유로 이하의 좌석은 남아있는 것이 없었다. 드뷔시의 '펠리아스와 멜리장드'를 예매 하는 것으로 만족하고 아쉬움도 잊어가던 어느 저녁, 번역 숙제가 싫어 책상 앞에서 몸을 비비 꼬고 앉아있는 내게 오페라 파리가 문자를 한 통 보냈다. 오늘 밤 마농 퍼스트 카테고리 Category 1 좌석 30유로에 줄테니 오라고. 1분 쯤 고민했던것 같다. 그러나 보고싶던 오페라를 좋은 자리에서 보며 숙제까지 내팽개칠 수 있는 기회를 마다할 내가 아니다. 바로 줄거리 출력해 들고 발걸음도 가볍게 바스티유로 향했다.
이번 마농은 오페라 나시오날 파리가 새롭게 연출해 올린 새 버전, 소위 '신상'으로 무대 곳곳에서 참신하고자 공을 들인 흔적을 찾아볼 수 있었다. 압권은 가수들의 의상으로, 마농의 사촌오빠 레스코가 정말 위 그림 우측 빨간 삐죽 머리를 그대로 하고 나와 노래를 부른다. 빨강과 검정이 얼룩덜룩한 머리를 말미잘처럼 세우고 금속 장식을 찰그랑 찰그랑 달고나와 노래하는 바리톤이라니. 여기에 남성 성악가다운 실팍한 체격이 더해져 현실적인 퇴폐미까지 묻어난다. 후에 찾아보니, 이미 여러 오페라단이 '모던한' 마농을 선보인 바 있다. 그러나 대부분 클래식에 가까우면 클래식, 모던에 가까우면 모던으로 대부분 어느 정도 일관성을 유지하는 듯 했는데, 오페라 파리는 17세기 귀족풍 흰 가발 쓴 아저씨부터 갱스터 룩까지 등장시켜 마치 마스네의 시대와 2012년이 혼재하는 것 같은 인상을 주었다. 여기에 고전적인 한편 장식적이고 화려한 마스네의 음악이 묘한 대비와 조화를 완성해 신scène 전체가 마치 '이것이 마농의 21세기적 인터프리테이션 interpretation이다' 라고 말하는 듯 했다.
마농 역은 마리안느 피셋Marianne Fiset이라는 작고 예쁘장한 소프라노가 맡았는데 어떤 매력이나 심은 느껴지지 않았지만 역할에 잘 어울렸고 젊은 용모에 비해 노래를 잘 했다. 반대로 상대역인 데 그리외Des Grieux 역의 장 프랑수아 보라스Jean-François Borras는 무대위에서 역삼각형으로 보일 정도로 어깨가 넓고 체격이 좋아 두 사람이 재미있는 대비를 이루었다. 데 그리외의 테너와 레스코의 바리톤이 무대 전반을 안정적으로 받쳐 주어 마농이 더욱 빛났던 것 같다. 프랑스 오페라이니 당연히 가사는 불어였지만 영화도 다 못알아듣는 비루한 불어로 오페라를 '듣고만 있을 수 는' 없다. 역시 무대 위 전광판에 가사가 제공되었는데, 프랑스 청중들과 불어 공연에 불어 자막을 올려다 보고 있자니 웃음이 났다.
세시간이 조금 못되는 긴 공연이라 인터미션이 두 번이었는데, 매번 내 오른쪽 앞자리에 앉은 캐나다 마담이 내 오른쪽 뒷자리에 앉은 미국 마담에게 하는 이야기가 거슬려 공연과는 상관없이 한숨이 나왔다. 듣자니 이 캐나다 마담의 딸이 오늘의 주역 마농과 같은 음악 학교를 다닌 인연으로 공연을 보러 온 모양이었는데, 소프라노가 캐나다 액센트가 있다는 둥, 아리아의 마지막 고음을 부르지 않아 답답했다는 둥 불이 켜지면 이야기를 시작해 다시 불이 꺼질때까지 그런 류의 비꼬기와 뽐내기를 멈추지 않아 피곤했다. 서울에 있을때부터 예체능계 아이를 둔 부모들 가운데 일부의 극성과 치졸함을 굉장히 싫어했는데, 여기라고 다른게 없다. 내 아이의 동료가 촉망받는 상황이 달갑지만은 않은 건 알겠지만, 그 교양있고 싶어 안달난 아줌마들이 그런 감정을 주체 못하고 드러내는 게 매우 흉하다는 생각은 왜 못하는지 모르겠다.
/MASSENET
OPÉRA BASTILLE
le 13 fev 2012
파리에 있으니 이왕이면 프랑스 작곡가들의 오페라를 봐 두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을 했을때, 이미 '마농'의 티켓은 수 주 전에 오픈되어 100 유로 이하의 좌석은 남아있는 것이 없었다. 드뷔시의 '펠리아스와 멜리장드'를 예매 하는 것으로 만족하고 아쉬움도 잊어가던 어느 저녁, 번역 숙제가 싫어 책상 앞에서 몸을 비비 꼬고 앉아있는 내게 오페라 파리가 문자를 한 통 보냈다. 오늘 밤 마농 퍼스트 카테고리 Category 1 좌석 30유로에 줄테니 오라고. 1분 쯤 고민했던것 같다. 그러나 보고싶던 오페라를 좋은 자리에서 보며 숙제까지 내팽개칠 수 있는 기회를 마다할 내가 아니다. 바로 줄거리 출력해 들고 발걸음도 가볍게 바스티유로 향했다.
이번 마농은 오페라 나시오날 파리가 새롭게 연출해 올린 새 버전, 소위 '신상'으로 무대 곳곳에서 참신하고자 공을 들인 흔적을 찾아볼 수 있었다. 압권은 가수들의 의상으로, 마농의 사촌오빠 레스코가 정말 위 그림 우측 빨간 삐죽 머리를 그대로 하고 나와 노래를 부른다. 빨강과 검정이 얼룩덜룩한 머리를 말미잘처럼 세우고 금속 장식을 찰그랑 찰그랑 달고나와 노래하는 바리톤이라니. 여기에 남성 성악가다운 실팍한 체격이 더해져 현실적인 퇴폐미까지 묻어난다. 후에 찾아보니, 이미 여러 오페라단이 '모던한' 마농을 선보인 바 있다. 그러나 대부분 클래식에 가까우면 클래식, 모던에 가까우면 모던으로 대부분 어느 정도 일관성을 유지하는 듯 했는데, 오페라 파리는 17세기 귀족풍 흰 가발 쓴 아저씨부터 갱스터 룩까지 등장시켜 마치 마스네의 시대와 2012년이 혼재하는 것 같은 인상을 주었다. 여기에 고전적인 한편 장식적이고 화려한 마스네의 음악이 묘한 대비와 조화를 완성해 신scène 전체가 마치 '이것이 마농의 21세기적 인터프리테이션 interpretation이다' 라고 말하는 듯 했다.
마농 역은 마리안느 피셋Marianne Fiset이라는 작고 예쁘장한 소프라노가 맡았는데 어떤 매력이나 심은 느껴지지 않았지만 역할에 잘 어울렸고 젊은 용모에 비해 노래를 잘 했다. 반대로 상대역인 데 그리외Des Grieux 역의 장 프랑수아 보라스Jean-François Borras는 무대위에서 역삼각형으로 보일 정도로 어깨가 넓고 체격이 좋아 두 사람이 재미있는 대비를 이루었다. 데 그리외의 테너와 레스코의 바리톤이 무대 전반을 안정적으로 받쳐 주어 마농이 더욱 빛났던 것 같다. 프랑스 오페라이니 당연히 가사는 불어였지만 영화도 다 못알아듣는 비루한 불어로 오페라를 '듣고만 있을 수 는' 없다. 역시 무대 위 전광판에 가사가 제공되었는데, 프랑스 청중들과 불어 공연에 불어 자막을 올려다 보고 있자니 웃음이 났다.
세시간이 조금 못되는 긴 공연이라 인터미션이 두 번이었는데, 매번 내 오른쪽 앞자리에 앉은 캐나다 마담이 내 오른쪽 뒷자리에 앉은 미국 마담에게 하는 이야기가 거슬려 공연과는 상관없이 한숨이 나왔다. 듣자니 이 캐나다 마담의 딸이 오늘의 주역 마농과 같은 음악 학교를 다닌 인연으로 공연을 보러 온 모양이었는데, 소프라노가 캐나다 액센트가 있다는 둥, 아리아의 마지막 고음을 부르지 않아 답답했다는 둥 불이 켜지면 이야기를 시작해 다시 불이 꺼질때까지 그런 류의 비꼬기와 뽐내기를 멈추지 않아 피곤했다. 서울에 있을때부터 예체능계 아이를 둔 부모들 가운데 일부의 극성과 치졸함을 굉장히 싫어했는데, 여기라고 다른게 없다. 내 아이의 동료가 촉망받는 상황이 달갑지만은 않은 건 알겠지만, 그 교양있고 싶어 안달난 아줌마들이 그런 감정을 주체 못하고 드러내는 게 매우 흉하다는 생각은 왜 못하는지 모르겠다.
Tag // Jean-François Borras,
Marianne Fiset,
MASSENET,
OPERA MANON,
마리안느 피셋,
마스네,
오페라 마농,
오페라 바스티유,
장 프랑수아 보라
댓글을 달아 주세요